맨위로가기

조선총독부 총독관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총독부 총독관방은 1905년 통감부 설치 이후 설치되어, 한일 병합 이후 조선총독부의 핵심 기구로 운영되었다. 통감부 시기 총무부의 일부로 시작하여, 총독관방으로 독립, 총무국, 외사국, 토목국 등을 거쳐 1945년까지 조직 개편을 반복하며 운영되었다. 1941년에는 비서관실, 심의실, 인사과, 문서과, 회계과, 국세조사과, 국민총력과 등의 기구를 갖추었다. 역대 총무장관, 총무국장, 외사국장, 토목국장, 철도국장 등의 명단이 존재한다.

2. 연혁

1905년 을사늑약 이후 통감부가 설치되면서 경무부(警務部), 농상공부(農商工部)와 함께 총무부(總務部)가 설치되었다. 통감부 총무부의 장은 총무장관이며 비서과(秘書課), 서무과(庶務課), 외사과(外事課), 내사과(内事課), 법제과(法制課), 토목과(土木課), 철도과(鐵道課)의 7과가 설치되었다. 1907년 10월 20일 통감부관제 개정에 수반하여 통감관방(統監官房)이 설치되었고 문서과(文書課), 인사과(人事課), 회계과(會計課)의 3과가 설치되었다.

1910년 10월 1일 한일병합조약에 따라 조선총독부가 설치되면서 총독관방(總督官房)과 총무부(총무부장관)가 설치되었다. 총독관방에는 무관실(武官室), 비서과, 참사관(參事官)이 설치되었고, 총무부에는 문서과와 외무국(外務局), 인사국(人事局), 회계국(會計局)의 3국이 설치되었다.

1912년 4월 1일 총무부는 폐지되어 총독관방에 흡수되었고, 총독관방에 총무국(總務局), 외사국(外事局), 토목국(土木局)의 3국이 설치되었다. 1915년 4월에 외사국이 폐지되었다. 1917년 7월 31일에는 총독관방에 철도국(鐵道局)이 설치되었다.

1919년 3·1 운동 이후 일제는 이른바 '문화 통치'로 통치 방식을 전환하면서 조선총독부 조직을 개편하였다. 이 과정에서 1919년에 총독관방에 서무부, 토목부, 철도부가 설치되었다. 1924년에는 행정 및 재정 정리를 목적으로 서무부와 토목부가 폐지되었고, 1925년 3월에는 철도부가 폐지되고 총독부의 외국(外局)으로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신설되었다.

1939년 8월 2일에는 관방외사부(官房外事部)가, 같은 해 11월 28일에는 관방기획부(官房企画部)가 신설되었다.

1942년 11월 1일, 후생국(厚生局)과 기획부가 폐지되고 총무국(總務局)이 다시 설치되었다. 그러나 1943년 12월 1일에 총무국이 다시 폐지되었고, 문서과(文書課), 정보과(情報課), 국민총력과(國民總力課), 조사과(調査課), 감찰과(監察課)가 총독관방에 설치되었다.

2. 1. 통감부 시기 (1905년 ~ 1910년)

1905년 을사늑약 이후 통감부가 설치되면서 경무부(警務部), 농상공부(農商工部)와 함께 총무부(總務部)가 설치되었다. 통감부 총무부의 장은 총무장관이며 비서과(秘書課), 서무과(庶務課), 외사과(外事課), 내사과(内事課), 법제과(法制課), 토목과(土木課), 철도과(鐵道課)의 7과가 설치되었다. 1907년 10월 20일 통감부관제 개정에 수반하여 통감관방(統監官房)이 설치되었고 문서과(文書課), 인사과(人事課), 회계과(會計課)의 3과가 설치되었다.

2. 2. 조선총독부 초기 (1910년 ~ 1919년)

1910년 10월 1일 한일병합조약에 따라 조선총독부가 설치되면서 총독관방(總督官房)과 총무부(총무부장관)가 설치되었다. 총독관방에는 무관실(武官室), 비서과, 참사관(參事官)이 설치되었고, 총무부에는 문서과와 외무국(外務局), 인사국(人事局), 회계국(會計局)의 3국이 설치되었다.

1912년 4월 1일 총무부는 폐지되어 총독관방에 흡수되었고, 총독관방에 총무국(總務局), 외사국(外事局), 토목국(土木局)의 3국이 설치되었다. 1915년 4월에 외사국이 폐지되었다. 1917년 7월 31일에는 총독관방에 철도국(鐵道局)이 설치되었다.

2. 3. 조선총독부 중기 (1919년 ~ 1939년)

1919년 3·1 운동 이후 일제는 통치 방식을 이른바 '문화 통치'로 전환하면서 조선총독부 조직을 개편하였다. 이 과정에서 1919년에 총독관방에 서무부, 토목부, 철도부가 설치되었다. 1924년에는 행정 및 재정 정리를 목적으로 서무부와 토목부가 폐지되었고, 1925년 3월에는 철도부가 폐지되고 총독부의 외국(外局)으로 조선총독부 철도국이 신설되었다.

1939년 8월 2일에는 관방외사부(官房外事部)가, 같은 해 11월 28일에는 관방기획부(官房企画部)가 신설되었다.

2. 4. 조선총독부 말기 (1939년 ~ 1945년)

1942년 11월 1일, 후생국(厚生局)과 기획부가 폐지되고 총무국(總務局)이 다시 설치되었다. 그러나 1943년 12월 1일에 총무국이 다시 폐지되었고, 문서과(文書課), 정보과(情報課), 국민총력과(國民總力課), 조사과(調査課), 감찰과(監察課)가 총독관방에 설치되었다. 국민총력과는 다른 소관과 합쳐져 지방과가 되었고, 회계, 인사는 기존부터 총독관방 소속이었다.

3. 기구

1941년 9월 1일 당시 조선총독부 총독관방은 다음과 같은 기구로 구성되어 있었다.


  • 총독관방(總督官房)
  • * 비서관실(秘書官室)
  • * 심의실(審議室)
  • * 인사과(人事課)
  • * 문서과(文書課)
  • * 회계과(會計課)
  • * 국세조사과(國勢調査課)
  • * 국민총력과(國民總力課)

4. 역대 총무국장 (총무장관 포함)

wikitable

성명재임 기간비고
(통감부) 총무장관
鶴原定吉(쓰루하라 사다키치)1905년(메이지 38년) 12월 21일 - 1908년(메이지 41년) 10월 21일
石塚英蔵(이시즈카 에이조)1908년(메이지 41년) 10월 22일 - 1910년(메이지 43년) 6월 14일사무취급
有吉忠一(아리요시 추이치)1910년(메이지 43년) 6월 14일 - 1910년(메이지 43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 총무부장관
有吉忠一(아리요시 추이치)1910년(메이지 43년) 10월 1일 - 1911년(메이지 44년) 3월 13일
小松緑(고마쓰 미도리)1911년(메이지 44년) 3월 13일 - 1912년(메이지 45년) 4월 1일심득
(조선총독부 총독관방) 총무국장
児玉秀雄(코다마 히데오)1912년(메이지 45년) 4월 1일 - 1916년(다이쇼 5년) 10월 19일
荻田悦造(오기타 에쓰조)1916년(다이쇼 5년) 10월 28일[1] - 1917년(다이쇼 6년) 7월 31일사무취급
荻田悦造(오기타 에쓰조)1917년(다이쇼 6년) 7월 31일 - 1919년(다이쇼 8년) 8월 20일
(총무국 폐지)
(조선총독부) 총무국장
江口親憲(에구치 친켄)1942년(쇼와 17년) 11월 1일 - 1943년(쇼와 18년) 12월 1일


5. 역대 총무부 인사국장, 회계국장, 외사국장

성명재임 기간비고
총무부 인사국장
국분 상타로(国分象太郎)1910년 10월 1일 – 1912년 3월 31일중추원 서기관장[2]
총무부 회계국장
こだま ひでお1910년 10월 1일 - 1912년 3월 31일
(통감부) 외무국장
가마타 케이지로(鍋島桂次郎)1907년 3월 29일 ~ 1909년 12월 23일
(통감부) 외사국장
고마쓰 미도리(小松緑)1909년 12월 23일 ~ 1910년 10월 1일
(조선총독부 총무부) 외사국장
고마쓰 미도리/小松緑일본어1910년 10월 1일 ~ 1912년 3월 31일


6. 역대 총독관방 토목국장

wikitable

성명재임 기간비고
(조선총독부 총독관방) 토목국장
지치 로쿠사부로(持地六三郎)1912년(메이지 45년) 4월 1일[3] - 1917년(다이쇼 6년) 6월 6일
우사미 카츠오(宇佐美勝夫)1917년(다이쇼 6년) 6월 6일[4] - 1919년(다이쇼 8년) 8월 20일조선총독부 내무부 장관 겸임


7. 역대 철도국장

조선총독부 철도국은 1917년부터 1925년까지, 그리고 1925년 이후 조선총독부 철도국의 역대 국장 명단을 제공한다.

참조

[1] 간행물 官報 1916-11-04
[2] 간행물 官報 1910-10-03
[3] 간행물 官報 https://dl.ndl.go.jp[...] 1912-04-02
[4] 간행물 官報 https://dl.ndl.go.jp[...] 1917-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